목록Linux (5)
그저 일상들

링크파일에 별명을 붙이는 것링크의 종류에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가 있습니다. 보통 심볼릭 링크가 많이 사용되며 이는 Mac의 alias나 윈도의 바로가기와 비슷합니다. 하드링크하드링크란 한 파일 원본에 이름을 여러 개 붙이는 기능따라서, 하드 링크로 만든 파일은 양쪽 다 원본이기 때문에 굳이 구분하지 않아도 됩니다. /etc/crontab 복사하여 하드링크 생성하드 링크 파일 삭제하드 링크 파일은 모두 원본이기 때문에 최초의 원본을 삭제하여도 복사본에는 영향 X심볼릭 링크심볼릭 링크란 원본 파일에 대한 정보가 담긴 작은 특수 파일이며 하드 링크와 달리 원본과 구별디렉터리는 하드 링크할 수 없으며, 하드 링크는 서로 다른 디스크에 걸쳐서 만들 수 없음심볼릭 링크는 이런 제한이 없어 더 많이 사용됩니다...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루기 때문에 파일 조작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일의 종류디렉터리여러 개의 파일을 담아서 정리할 수 있는 것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usr 디렉터리는 하위의 /bin, /man, /lib 등과 같은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일반 파일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 파일에 해당합니다.심볼릭 링크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을 대신해서 사용하기 위해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으로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합니다.장치 파일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합니다. 장치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를 관리하기 ..
커맨드 라인 편집Main CommandSub CommandDescriptionCtrlb커서를 한 문자 뒤로 이동f커서를 한 문자 앞으로 이동a커서를 맨 앞으로 이동e커서를 맨 뒤로 이동w커서 뒤 공백이 나오기 전까지 있는 문자들 삭제k커서의 위치에서 끝까지 삭제u커서의 위치에서 커맨드 라인의 첫 문자까지 삭제y마지막으로 지운 내용 삽입s화면 표시 잠금q화면 표시 잠금 해제c실행 중인 명령 강제 종료l화면 지우기

셸의 역할과 리눅스 커널명령어 실행 과정 키보드로 입력한 date 문자열 받기date 명령어 찾기발견한 명령어 실행 (본체인 커널이 수행)실행한 결과로 얻은 문자열 화면에 표시* 커널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널 인터페이스인 '셸'을 통해 명령어를 받고 실행 결과 출력 수행 대화형 조작과 셸 스크립트대화형(인터렉티브) 방식 -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확인셸 스크립트 - 일련의 명령어 흐름을 기술한 파일셸 종류sh- 본 셸이라고 불리며 표준 셸의 지위를 가짐 - 오래된 셸이라 기능이 적고 특히 대화형에서 사용하기에 불편- 로그인 셸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csh- C셸이라 불림- sh보다 대화형 조작에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음- 셸 문법 상 셸 스크립트 작성에는 적합하지 않..
리눅스하드웨어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돌리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 일반적인 데스크톱뿐 아니라 임베디드,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장점 오픈 소스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 (apache, MySQL DB, etc...)높은 신뢰성스크립트를 통해 많은 부분을 자동화개발 환경 구축이 용이하며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운영 체제의 내부 동작 확인 가능단점상용 애플리케이션이 적음워드나 엑셀 파일 편집 시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함배포판계열배포판Red Hat 계열Red Hat Enterprise Linux, CentOS, FedoraDebian 계열Debian GNU/Linux, Ubun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