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일상들
[Linux] Shell - 01 본문
셸의 역할과 리눅스 커널
명령어 실행 과정
- 키보드로 입력한 date 문자열 받기
- date 명령어 찾기
- 발견한 명령어 실행 (본체인 커널이 수행)
- 실행한 결과로 얻은 문자열 화면에 표시
* 커널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널 인터페이스인 '셸'을 통해 명령어를 받고 실행 결과 출력 수행
대화형 조작과 셸 스크립트
- 대화형(인터렉티브) 방식 -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확인
- 셸 스크립트 - 일련의 명령어 흐름을 기술한 파일
셸 종류
sh
- 본 셸이라고 불리며 표준 셸의 지위를 가짐
- 오래된 셸이라 기능이 적고 특히 대화형에서 사용하기에 불편
- 로그인 셸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csh
- C셸이라 불림
- sh보다 대화형 조작에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음
- 셸 문법 상 셸 스크립트 작성에는 적합하지 않음
bash
- sh와 호환성이 있어 sh 대체 가능
- 대화형 조작에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로그인 셸로 많이 활용 됨
- 셸 스크립트 작성에도 적합
tcsh
- csh에 이어 개발된 C셸 계열
- 대화형 조작에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셸 스크립트에는 적합하지 않음
zsh
- bash와 tcsh의 기능에 독자적인 기능 추가
일시적인 셸 변경
sh # sh 셸로 변경, 일반 셸이기 때문에 exit로 나와야 됨
터미널
터미널이란?
- 컴퓨터의 입출력만을 담당하는 전용 하드웨어
-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터미널 대신 터미널 에뮬레이터 사용
터미널과 셸
- 터미널 에뮬레이터와 셸은 완전히 다른 소프트웨어
-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Mac에서 셸은 Linux Machine에서 돌아감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링크 (0) | 2024.11.22 |
---|---|
[Linux] 파일과 디렉터리 (0) | 2024.11.22 |
[Linux] Shell - 02 (0) | 2024.11.21 |
[Linux] 개요 (0) | 2024.11.20 |